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070 번호 차단 해제
    070 번호 차단 해제

    070 번호는 인터넷전화(VoIP)로, 스팸·보이스피싱에 악용되는 사례가 있지만 정상 기업 콜센터·택배·원격상담 등에서도 폭넓게 사용됩니다. 그래서 일괄 차단해두면 편하긴 하지만, 정작 받아야 할 중요한 연락을 놓치는 문제가 생기죠. 아래 가이드는 안드로이드/아이폰/통신사 별 ‘070 번호 차단 해제’를 가장 안전하게 하는 방법을 상세 단계 + 실제 예시로 정리했습니다.

     

    ✅ 안드로이드에서 070 차단 해제 (삼성/구글/샤오미 공통)

     

    공통 경로 — 전화 앱 실행 → 우상단 더보기(⋮) 또는 톱니바퀴(설정) → 차단된 번호(또는 스팸 및 차단)로 이동합니다.

     

    ① ‘070 전체 차단’이 켜져 있는지 확인
    • 일부 기기/앱은 ‘070 시작 번호 차단’ 옵션이 있습니다. 070 또는 070*이 보이면 삭제/해제하세요.
    예시: 차단 목록에 070* 항목이 있으면 우측 삭제 아이콘을 눌러 해제.

     

    ② 특정 070 번호만 허용(화이트리스트)
    • 가장 안전한 방법은 필요한 번호만 허용하는 것입니다. 연락처에 저장하면 스팸 필터를 통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예시: ‘회사 콜센터(070-1234-5678)’를 연락처에 저장 → 즐겨찾기★로 지정 → 전화 앱에서 ‘연락처만 벨소리’ 옵션 사용 시 해당 번호는 정상 수신.

     

    ③ 제조사별 팁
    삼성(One UI 6): 전화 앱 → 설정 → 통화방해 방지(또는 스팸 및 발신자 ID) → Smart Call 미세 조정. ‘미확인 번호 무음’ 활성화 시 중요한 070은 연락처 저장으로 해결.
    픽셀/순정: 전화 앱 → 설정 → 발신자 ID & 스팸 → ‘스팸 식별’은 유지하되 ‘알 수 없는 발신자 무음’ 비활성화 권장.
    샤오미(MIUI): 보안앱 → 스팸 차단 → 규칙에서 ‘070 패턴 차단’ 제거.

     

    ④ 서드파티 앱(후후/후스콜/T 전화 등) 확인
    • 스팸 차단 앱이 설치돼 있으면 그 앱의 차단 규칙이 우선합니다. 앱 열기 → 차단 내역/번호 패턴에서 070 관련 규칙을 해제하세요.
    예시: ‘후후’ → 설정 → 차단 관리 → 번호 패턴에 070* 등록돼 있으면 삭제.


    ✅ 아이폰(iOS 17/18 기준)에서 070 차단 해제

     

    ① 차단 목록에서 해제
    설정 → 전화차단된 연락처 → 목록에서 070 번호 좌측 스와이프 → 차단 해제.
    예시: 차단 목록에 ‘070-9876-5432’가 보이면 왼쪽으로 밀고 ‘차단 해제’ 탭.

     

    ② ‘알 수 없는 발신자 침묵 처리’ 해제 또는 우회
    설정 → 전화 → 알 수 없는 발신자 침묵 처리 .
    이 기능을 켜두고 싶다면, 꼭 받아야 하는 070 번호를 연락처로 저장해 두면 벨이 울립니다.
    예시: ‘A/S센터(070-1111-2222)’를 저장 → 기능이 켜져 있어도 통화 수신.

     

    ③ 메시지 필터/포커스 모드 영향 확인
    포커스(방해 금지 등)에서 ‘허용 연락처만’ 수신으로 돼 있으면 070이 막힐 수 있습니다.
    설정 → 집중 모드 → 사용 중인 모드에서 사람 → 필요한 070 연락처를 허용 목록에 추가.

     

    ✅ 통신사 서비스에서 070 차단 해제 (부가서비스/앱)

     

    통신사 스팸 차단 서비스가 ‘070 전체 차단’ 규칙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각 통신사 앱 또는 고객센터에서 해제하세요.

     

    통신사 앱 경로(예시) 고객센터
    SKT T전화 또는 T world → 스팸/번호 차단 → 070 차단 OFF, 화이트리스트 추가 114
    KT 마이케이티 → 스팸차단(Whof? 등 연동) → 번호/패턴 차단에서 070* 제거 100
    LG U+ U+ 고객센터/스팸차단 → 차단 설정 → 070 허용, 필요 번호 화이트리스트 101
    알뜰폰(MVNO) 통신사별 앱/웹에서 스팸 차단 규칙 확인 후 070 허용 사업자별 상이

     

    예시: SKT 이용자 — T전화 → ‘스팸/보호’ → ‘차단 패턴’에 등록된 070* 삭제 → ‘허용 번호’에 070-3333-4444 추가.


    ✅ 상황별 예시로 따라 하기

     

    예시 1 | 해외콜센터(070) 면접전화 놓침
    문제: ‘알 수 없는 발신자 무음’ + 070 전체 차단으로 면접 전화를 계속 놓침.
    해결: (아이폰) ‘알 수 없는 발신자 침묵’ OFF → 연락처에 면접처 070 번호 저장 → 벨 울림 확인.

     

    예시 2 | 고객사 콜백만 허용하고 나머지 070은 차단 유지
    문제: 070 스팸은 싫지만 특정 고객사 콜백(070-8888-7777)은 받아야 함.
    해결: (안드로이드) 전화 앱 → 차단된 번호에서 070* 패턴 유지 → 스팸앱/전화앱의 허용목록에 070-8888-7777 저장(연락처 즐겨찾기).

     

    예시 3 | 부모님 폰에서 070 상담전화가 아예 연결 안 됨
    문제: 통신사 스팸 차단 부가서비스에서 070 전체 차단.
    해결: (통신사 앱) 스팸차단 설정 → 070 차단 OFF → 필요한 번호 화이트리스트 등록.

     

    ✅ 070 차단 해제, 안전하게 운영하는 요령

     

    전부 해제 대신 ‘허용 목록’ 전략: 받을 번호만 연락처 저장/화이트리스트. 스팸 노출 최소화.
    벨소리는 최대, 진동/무음은 최소: 알 수 없는 번호 무음 기능을 끄거나, 업무 시간만 무음.
    주기적 점검: 스팸 앱/통신사 앱 업데이트 후 규칙 초기화 여부 확인.
    링크/앱 설치 금지: 070 통화 후 문자인증/앱 설치 유도는 대부분 사기 패턴.



    ✅ 1분 완성 체크리스트

     

    1) 전화 앱의 차단된 번호에서 070* 같은 패턴 삭제
    2) 꼭 받아야 할 070은 연락처 저장 + 즐겨찾기
    3) 아이폰은 알 수 없는 발신자 침묵 옵션 확인(OFF 또는 연락처 저장으로 우회)
    4) 통신사 스팸 차단 앱에서 070 전체 차단 OFF, 허용 목록 등록
    5) 서드파티 스팸앱(후후/후스콜/T전화 등) 규칙도 함께 점검

     

    ✅ 자주 묻는 질문(Q&A)

     

    Q1. 070은 다 스팸인가요?
    A1. 아닙니다. 정상 기업 콜센터·택배·원격AS·국제 콜백도 070을 사용합니다. 그래서 ‘전체 차단’보다는 ‘필요 번호만 허용’이 안전합니다.

     

    Q2. 070 전체 허용하면 스팸이 폭증하지 않나요?
    A2. 그럴 수 있습니다. 스팸 차단은 유지하되, 필요한 번호만 연락처 저장/화이트리스트로 허용하세요.

     

    Q3. 연락처 저장했는데도 무음이에요.
    A3. 아이폰의 집중 모드 또는 안드로이드의 ‘방해 금지’ 설정에서 허용 연락처가 제한됐을 수 있습니다. 포커스/방해금지 허용 목록에 해당 연락처를 추가하세요.

     

    Q4. 회사에서 쓰는 PBX/050/070도 비슷한가요?
    A4. 050/070/대표번호는 스팸필터에 걸리기 쉽습니다. 꼭 받아야 하면 ‘대표번호’를 저장하거나, 담당자 직통번호를 함께 저장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

     

    반응형